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806 1806번: 부분합 첫째 줄에 N (10 ≤ N < 100,000)과 S (0 < S ≤ 100,000,000)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수열이 주어진다. 수열의 각 원소는 공백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풀이 이전에 포스팅한 백준 2003. 수들의 합2 문제와 매우 유사합니다. 풀이 보러 가기 만약 수들의 합2 문제를 풀지 않으셨다면 위 문제부터 푸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 문제의 풀이에서 포인터 사이의 간격을 최소로 갱신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소스 코드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분류 전체보기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UcKI%2FbtsHYstl0WS%2FH8DmTYkYhKthvNza2TbNA1%2Fimg.png)
컴퓨터와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강의 노트 모음입니다. 강의 노트라고는 했지만 강의의 커리큘럼을 참고한 것이 크고, 강의 외로 참고한 것들도 꽤 있어서 강의 흐름과 결이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이해가 안 가는 부분들을 추가 포스팅과 그림으로 최대한 쉽게 정리하려고 노력해서 네트워크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시는 분들이나 네트워크 개념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1. OSI 7계층을 쉽게 이해해보자 (1) 2. OSI 7계층, TCP/IP Updated 을 쉽게 이해해보자 (2) 3. 전송 계층 : 다중화(Multiplexing)와 역다중화(Dem..
프로젝트가 스프링 부트 2.7.5 버전으로 되어있었는데, 이 버전은 23년 11월 24일에 공식적인 지원이 종료되었다. 그런 이유로, 스프링 부트 3.x.x 버전을 받아야하는데 스프링 부트 3 이상의 버전은 자바 17을 최소 버전으로 지원한다. 그래서 맥북 로컬 환경의 자바 버전을 변경하는 것을 간단히 메모해두었다. 1. 자바 17 설치brew install openjdk@17 homebrew를 이용해 자바 17을 설치한다. 2. 자바 17 설치 확인/usr/libexec/java_home -V 해당 경로에 접속해 설치된 자바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여기서 조회가 되지 않는다면, sudo ln -sfn /opt/homebrew/opt/openjdk@17/libexec/openjdk.jdk ..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tdOC%2FbtsJuSqEsVu%2FMNYvpNOpJ7NiOZ7wgoBRE1%2Fimg.png)
https://dcloud.tistory.com/178 지난 포스팅에서 동적 웹 페이지를 위해 서블릿이 도입된 배경과 서블릿의 장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블릿을 재정의해서 서블릿의 요청을 처리하는 것도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이어서, 서블릿의 핵심 개념인 서블릿 컨테이너를 다루어보고 스프링에서 어떤 점을 개선했고 현재의 스프링 형태가 되었는지 살펴보자. 서블릿은 어떻게 관리되고, 서블릿은 어떻게 호출될까? 1. 서블릿 컨테이너서블릿을 관리하기 위한 서블릿 컨테이너라는 것이 있다. 서블릿 컨테이너란 단어 그대로 서블릿을 담는 컨테이너이다. 우리가 자주 들어본 톰캣(Tomcat)이 대표적인 서블릿 컨테이너이자 WAS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HTTP 요청을 보내면 톰캣이 해당 요청을..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pxsVV%2FbtsJweMYgR3%2F00ZUDFkKneh3xuErEwlh81%2Fimg.png)
https://www.youtube.com/watch?v=PH8-V6ah0XQ&list=LL&index=1IT 늦공 김부장 - [Servlet - Jsp - MVC - Spring 진화과정에 대한 리뷰] 위 영상을 보고 서블릿부터 JSP, 스프링으로 이어지는 웹 변천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눈에 띄는 부분은 마지막 25분 32초 였다. 해당 부분에서는 Was의 구조와 개발 방법의 관계를 주제로, 서블릿과 JSP, 스프링의 WAR 파일 형식을 비교하는데 세 가지 방법의 WAR 파일이 모두 똑같은 형식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사실 당연한 이유일 수도 있는데, 서블릿에서 스프링까지의 변천사가 기존의 기술을 조금씩 확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둘다 자바 기반의 서블릿 컨테이너..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tz6Tf%2FbtsHuJI4PxM%2F9KR65zUswcT6PYywBfa9v0%2Fimg.png)
이번 포스팅에서는 Cellular network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Cellular network의 구성 요소Cellular network는 지역을 셀로 나눠서 셀 하나에 기지국을 하나 심어놓고, 그 셀에 속하는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Cell이란 작은 구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ell에는 Base Station이 존재하고 mobile host가 Base Station(기지국)에 붙어있는 구조입니다. 각 Base Station은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연결되어있습니다. MSC는 Public Telephone Network와 연결되어, cell이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게끔 해줍니다.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