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강의 노트 모음입니다. 강의 노트라고는 했지만 강의의 커리큘럼을 참고한 것이 크고, 강의 외로 참고한 것들도 꽤 있어서 강의 흐름과 결이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이해가 안 가는 부분들을 추가 포스팅과 그림으로 최대한 쉽게 정리하려고 노력해서 네트워크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컴퓨터와 네트워크 강의를 들으시는 분들이나 네트워크 개념에 대한 학습이 필요한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1. OSI 7계층을 쉽게 이해해보자 (1) 2. OSI 7계층, TCP/IP Updated 을 쉽게 이해해보자 (2) 3. 전송 계층 : 다중화(Multiplexing)와 역다중화(Dem..
CS/Network
이번 포스팅에서는 Cellular network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Cellular network의 구성 요소Cellular network는 지역을 셀로 나눠서 셀 하나에 기지국을 하나 심어놓고, 그 셀에 속하는 사용자들에게 무선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Cell이란 작은 구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ell에는 Base Station이 존재하고 mobile host가 Base Station(기지국)에 붙어있는 구조입니다. 각 Base Station은 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연결되어있습니다. MSC는 Public Telephone Network와 연결되어, cell이 유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게끔 해줍니다. M..
IEEE 802.11 Frame 위 구조는 WiFi에서 사용하는 Frame의 구조를 나타낸 것입니다. 유선에서의 헤더 주소들은 Destination과 Source 두개만 존재했었습니다. 하지만 WiFi Frame에서는 MAC 주소가 4가지 존재합니다. 차례로 Address1은 wireless host (받은 AP의 MAC 주소), Address2는 보내는 Host의 MAC 주소, Address3은 AP에서 전달될 Router의 MAC 주소, Address4는 ad hoc mode를 위해 존재하는 주소입니다. ad hoc은 상용화 되지 않은 구조라 잘 쓰이지 않습니다. Addressing 과정 위 그림에서 H1은 host로 CSMA/CA 방식을 통해 충돌을 회피합니다. H1은 Internet에..
IEEE 802.11 : multiple access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물리적인 차이로 인해, 유선과 무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도 다릅니다. 유선에서는 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어 외부 noise가 차단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무선은 신호에 대한 간섭이 많고 보호받지 못하는 점과,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신호 세기가 급격히 감소한다는 리스크가 있습니다. 그런 리스크 때문에, Hidden terminal problem와 Signal attenuation의 문제가 생깁니다. Hidden terminal problem은 통신하려는 두 무선 단말기 간에 서로 볼 수 없는 중간 단말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위 상황을 예시로 들면 A와 B와 C는 순서대로 70m ..
지금까지 유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알아보았다면, 이제부터 무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무선 네트워크는 유선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네트워크를 말합니다. Wireless network의 요소Access Point, Cell 무선으로 접속하는 지점을 Access Point(AP), 흔히 기지국이라고 부릅니다. 무선 송신기 역할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네트워크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기지국이 커버하는 범위를 Cell이라고 부릅니다. 이 Cell 내의 End link에서 우리가 쓰는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AP와 연결되어 있는 것입니다. 하나의 Cell 영역에서 여러 사용자가 channel을 동시에 사용하려고 하면, Mutiple Access Protocol을 수행하게 됩니..
이전 포스팅에서 오늘날 이더넷은 star topology의 구조를 띄고 있고, 가운데에는 Switch가 존재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여기서 Switch는 host들을 연결하며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스위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Switch 스위치는 링크 계층에 속하는 장치입니다. 이더넷 상의 frame을 저장하다가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 forward 하는 방식입니다. Collision Domain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Switch는 라우터와 역할이 비슷한데, 라우터는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 속하는 장치입니다. 반면 Switch는 단순히 host들을 연결하는 것이라 MAC 주소만 보고 어디로 갈지 forward 해주는 것임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