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프로젝트 리팩토링 도중, 이틀을 고민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DTO가 어느 계층까지 내려와야하는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었습니다. 지나고보니 그렇게까지 오래 고민할 필요는 없는 것 같지만..? 고민했던 부분들이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정해진 정답은 없다는 것입니다. 개발하는 서비스마다 다르고, 같은 서비스에서도 기능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1. DTO란?우선 DTO란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이때 계층은 Presentation(View, Controller), Business(Service), Persistence(DAO, Repository)로 나뉘게 됩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 익숙한 개발자들은 보통 Controll..
https://www.youtube.com/watch?v=PH8-V6ah0XQ&list=LL&index=1IT 늦공 김부장 - [Servlet - Jsp - MVC - Spring 진화과정에 대한 리뷰]   위 영상을 보고 서블릿부터 JSP, 스프링으로 이어지는 웹 변천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눈에 띄는 부분은 마지막 25분 32초 였다.   해당 부분에서는 Was의 구조와 개발 방법의 관계를 주제로, 서블릿과 JSP, 스프링의 WAR 파일 형식을 비교하는데 세 가지 방법의 WAR 파일이 모두 똑같은 형식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사실 당연한 이유일 수도 있는데, 서블릿에서 스프링까지의 변천사가 기존의 기술을 조금씩 확장한 것이기 때문이다. 둘다 자바 기반의 서블릿 컨테이너..
동구름이
'스프링' 태그의 글 목록